다라다라V
article thumbnail
728x90
반응형

문제요약 (13164번. 행복 유치원)

 

 

13164번: 행복 유치원

입력의 첫 줄에는 유치원에 있는 원생의 수를 나타내는 자연수 N(1 ≤ N ≤ 300,000)과 나누려고 하는 조의 개수를 나타내는 자연수 K(1 ≤ K ≤ N)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원생들

www.acmicpc.net

 

 

풀이를 위한 부연 설명

  •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.
  • 먼저 유치원생들 간의 키 차이를 diff에 저장한다.
    • 인덱스 에러에 주의한다.
  • n-k개의 diff 값을 더하면 구하려는 값이 나온다.

 

  • 그리디와 정렬에 대한 자세한 개념 설명과 연관 문제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.

 

 

[코테 알고리즘] 그리디 / 관련 문제

본 글은 "나동빈"님의 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, 필자가 직접 문제를 풀며 관련된 문제들을 찾아 정리하였습니다. 시리즈 보기 [코테 알고리즘] 파이썬 기본 / 관련 문제

daradarav.tistory.com

 

[코테 알고리즘] 정렬 / 관련 문제

본 글은 "나동빈"님의 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, 필자가 직접 문제를 풀며 관련된 문제들을 찾아 정리하였습니다. 시리즈 보기 [코테 알고리즘] 파이썬 기본 / 관련 문제

daradarav.tistory.com

 

코드 
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kid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
kids.sort()

diff = [0] * (n-1)

for i in range(n-1):
    diff[i] = kids[i+1] - kids[i]

diff.sort(reverse=True)

print(sum(diff[k-1:]))

 

 

 

기억할 점

  • 정렬의 기준에 대해 생각해보고
  • 문제를 푸는 아이디어를 떠올려야한다.
반응형
profile

다라다라V

@DaraDaraV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